목록전체 글 (139)
Neuroscience Stud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yDrZ/btrS5AOJxo3/tOYvKtUtLJGZiFDu61t621/img.jpg)
누구나 언젠가 한 번쯤은 불안을 경험해보았을 것이다. 그런 경험은 모든 사람에게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불안이 대체 무엇인지는 몰랐을 공산이 크다. 환자들이 내게 불안이 뭐냐고 설명해달라고 하면 보통 나는 두렵고 마음의 평화를 찾을 수 없고 무언가 잘못되어 있는것 같고 자꾸만 초조한 느낌에 사로잡히는 것이라 말해준다. 스트레스와 불안을 구분하기가 쉽지만은 않지만, 흔히들 스트레스는 지금 바로 여기서 일어나고 위협으로 느껴지는 무언가에 대한 반응이라고 말한다. 반면, 불안은 지금 당장은 위협이 아닌 무엇, 혹은 이미 일어났거나 일어날지도 모르는 무엇과 관련된 걱정을 말한다. 직장에서 실수해서 질책받을 때 느끼는 것은 스트레스다. 그 사건이 있은 지 일주일이나 흘렀고 직장에 출근하지도 않았는데 계속해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78kK/btrS3oIqYQE/96oX8HcFogWAXIRb1raeFK/img.jpg)
뇌의 편도체와 스트레스 반응이 얼마나 막강한지 깨닫고 나면 스트레스를 우리 삶에서 완전히 떼어놓기가 어째서 불가능한지도 이해하게 된다. 스트레스가 뇌에 너무도 깊숙이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자기를 가장 스트레스받게 하는 존재를 피할 수는 있다. 하지만 완벽히 스트레스 없는 삶을 살려면 완전한 야생의 세계로 떠나 고립되는 수밖에 없다. 그러면 아마도 너무 외로워서 스트레스받을 것이다! 삶에서 모든 스트레스를 제거할 수는 없으므로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키우기를 목표로 삼는 것이 더 낫다. 신체활동을 통해 거둘 수 있는 효과가 바로 이것이다. 운동은 스트레스를 제거해주지는 않지만,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의 브레이크 페달을 강화해서 어지간해서는 투쟁-도피 반응 상태로 빠져들지 않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YS69/btrS43jAuAL/wEpf8Wb5SVvMGddcuaZfd1/img.webp)
스트레스가 나쁘기만 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세상일이 다 그렇듯 사정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 그와 반대로 우리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스트레스가 필수적이다. 운동과 다른 방법을 통해 스트레스와 걱정에 잘 대처하는 법을 배우기에 앞서 스트레스가 얼마나 중요하고, 그 역할은 무엇인지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무언가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싶으면 그것을 없애 보면 된다. 스트레스 반응 체계를 그냥 제거해버린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이 질문의 답을 구하기 위해 한 무리의 원숭이로부터 편도체를 수술로 제거해보았다. 과학자들은 이 수술로 원숭이의 두려움을 느끼는 능력에 장애가 생길 것으로 생각했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람이나 동물이나 마찬가지로 함께 있을 때 가장 불편하게 생각할 만한 존재를 집어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