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9)
Neuroscience Stud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GNw/btrThM9UVhe/BKV9CmhqXDIKE3ISyGrsQk/img.jpg)
사회적 관계에서 탄생하는 창의성 F. 스콧 피츠제럴드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파리에서 친구가 된 가난한 젊은이들이었다. 팝아트 작가 로버트 라우센버그는 20대 때 아직 유명해지기 전이던 화가 사이 톰블리, 재스퍼 존스와 로맨틱한 관계였다. 20대 때의 메리 셸리는 동료 작가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과 함께 보낸 여름에 대표작 《프랑켄슈타인》을 썼다. 왜 창작자들은 이처럼 서로에게 끌리는 걸까? 창의적인 예술가는 세상과 등질 때 가장 왕성하게 활동한다는 믿음이 퍼져 있지만 이는 오해에 불과하다. 작가 조이스 캐롤 오츠는 1972년에 쓴 수필 《고립된 예술가를 향한 오해The Myth of the Isolated Artist》에서 이런 말을 했다. "예술가가 일반 사회와 고립된 인물이라는 건 잘못된 믿음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PkLt5/btrThyc3Ipj/KSVPueVbszqpE5chfpr7lK/img.jpg)
만일 당신이 어떤 좀비와 마주앉아 저녁 식사를 한다면 그 좀비에게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듣고 감명을 받을 거라는 기대는 아예 하지 않을 것이다. 좀비의 움직임은 자동적이며 미리 입력된 대로 틀에 박힌 행동만 한다. 좀비는 스케이트보드를 타거나 회고록을 쓰거나 달에 우주선을 쏘아 올리거나 헤어스타일을 바꾸지 않는다. 비록 실재하지는 않지만 좀비는 자연계와 관련해 우리에게 무언가 중요한 걸 보여준다. 그것은 바로 동물의 왕국 생명체는 대개 자동화한 행동을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벌을 생각해보자. 푸른 꽃에 앉든 노란 꽃에 앉든 공격을 하든 날아가든 벌은 언제 어떤 자극을 주어도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 왜 벌은 창의적인 생각을 하지 못하는 걸까? 벌은 신경계 단위인 뉴런이 고정적이라 소방관들이 일렬로 늘어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oTTU/btrTh4WNpnX/sUbHEh48VbkJ0nau3LDkh0/img.png)
뇌는 아는 지식을 이용하는 것과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으려 한다. 이것은 언제나 쉽지 않은 일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지금 어떤 식당에 가서 점심을 먹을지 결정한다고 해보자. 항상 가던 식당을 고수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식당에 가볼 것인가? 항상 가던 식당을 찾아가는 것은 예전의 경험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하는 행동이다. 반면 알지 못하는 음식의 심연에 뛰어든다면 이는 시도해보지 않은 옵션을 모색하는 일이다. 동물의 왕국에서 동물은 중간 어디쯤을 절충점으로 삼는다. 만일 붉은 바위 밑에는 유충이 있고 푸른 바위 밑에는 유충이 없음을 경험으로 알았다면 그 지식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어떤 날은 가뭄이나 화재, 유충을 찾아다니는 다른 동물 때문에 붉은 바위 밑에서 유충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