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9)
Neuroscience Study

어쩌면 모든 미스터리 과학의 최고봉일지도 모를 뇌의 최대 미스터리는 두개골 안에 모여 있는 고작 1kg 조금 넘는 이 세포 덩어리가 어떻게 의식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어떻게 이것을 나 자신으로 인식할 수 있을까? 사람들은 과학자가 의식을 이해하려 드는 것은 마치 삶의 의미를 알아내려는 것처럼 경솔한 행동이라고 오랫동안 믿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의식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그런 경솔함과는 한참 거리가 있다. 최근 의학적 발견 덕분에 의식을 연구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도구를 손에 쥘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신경과학자들만의 흥밋거리가 아니다. 물리학자, 심리학자, 철학자들도 어떻게 세포 덩어리가 자신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느냐는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체 이 세포 덩어리는 자..

ADHD 진단 기준에 많은 사람이 씨름하는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집중력에 문제는 있지만 ADHD로 진단이 나올 정도는 아닌 사람에게 약 복용 말고 도움이 될 다른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볼 만하다. 여기서 운동이 등장한다. 신체활동과 집중력 사이의 관련성은 뜻하지 않은 영역에서 시작된다. 그곳은 우리가 맛난 음식을 먹고, 친구들과 어울리고, 직장에서 칭찬받을 때 기분 좋게 만들어주는 곳, 즉 뇌의 보상체계 reward system다. 보상체계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강력해서 우리를 특정 행동으로 밀어붙이는 엔진에 비유할 수 있다. 보상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뇌 영역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흔히 '보상 중추reward center'라고 하는 영역은 중격의지핵 nucleus accumbens이다. ..

무엇이 집중력을 높여주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집중력을 측정할 방법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어떻게? 그냥 집중이 잘 되느냐고 물어보면 될까? 과학에서는 조금 더 객관적인 측정방식을 원한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에릭센플랭커 검사Eriksen Flanker test다. 이 검사는 모니터 위에 나타난 다섯 개의 화살표기호를 이용한 연습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습문제의 과제는 가운데 화살표가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지 최대한 빨리 표시하는 것이다. 때로는 모든 화살표가 똑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