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9)
Neuroscience Study

계획적으로 행동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시간이 흘러도 목표에 대한 정보를 '마음에 담아두는 능력'이고, 여기서는 전전두피질의 역할이 단연 중요해 보인다. 예일 대학 신경 과학자인 패트리샤 골드먼-라키시가 진행한 일련의 연구가 이 사실을 증명했다. 그녀는 짧은 꼬리 원숭이가 간단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전전두피질 내 뉴런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연구했는데 이 과제에서 원숭이는 먼저 응시점인 화면 중앙에 있는 한 점에 시선을 고정하는 훈련을 받는다. 다음 단계로 시선을 고정하는 훈련을 받는다. 다음 단계로 시선을 한 점에 고정시킨 원숭이에게 응시점에서 떨어진 주변 시야에 신호를 제시한다. 원숭이는 내내 응시점을 바라보다 그것이 사라지면 신호가 나타났던 (하지만 이젠 사라진) 지점으로 시선을 움직여야 ..

전전두피질의 무엇이 자제력에 그토록 중요한지 묻는다면 핵심적인 특징은 배선에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대뇌피질의 서로 다른 영역을 살펴야 한다. 우리 뇌의 일차 영역들(시각, 촉각 또는 청각 등)은 구체적인 감각 형태의 인풋을 처리하거나 직접적으로 아웃풋 신호를 발생해 움직임을 통제하는 데 전념한다. 연합 영역은 일차 영역에서 온 정보를 통합하고 기존의 정보와 연결 짓는다. 연합피질 중 단일 연합피질은 주로 하나의 감각에서 전달된 정보를 처리한다. 반면 다중 연합피질은 서로 다른 감각의 정보를 결합한다. 이러한 영역들은 계층적으로 배치되었는데, 가장 위에는 전전두피질이 자리해 아래 단계의 단일피질 영역 각각에서 전해지는 인풋을 수신한다. 뿐만 아니라, 전전두피질 내에도 계층이 나누어져 있는데, 앞쪽에..

두뇌의 영역이 정신 기능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해당 영역이 손상되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전두엽 손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아마도 피니어스 게이지일 것이다. 그의 이야기는 1848년 9월 14일 버몬트 주 러들로 지역 신문인 에서 처음 알려졌다. 끔찍한 사고-어제 캐번디쉬[버몬트 주]에서 철도 현장 감독인 피니어스 게이지가 폭파를 위해 화약을 다져 넣던 중 화약이 폭발하며 당시 그가 사용하고 있던 지름 3센티미터, 길이 111센티미터 쇠막대 도구가 그의 머리를 관통했다. 쇠막대는 얼굴 측면으로 들어가 위턱을 부수고 왼쪽 눈을 지나 정수리로 나왔다. 이 음울한 사건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그가 정신이 온전한 채로 아무런 통증도 느끼지 않고 오늘 ..